10기KIHO 1주차 과제 제출

[1] 대칭 영화 포스터 분석하기

느낀점  : 

색상과 명도의 대비뿐만 아니라 폰트의 두께 차이에서 오는 대비까지 보여주는 예시로 가져왔습니다.

시선은 포스터의 가장 가운데 인물에게 먼저 맞춰지는데, 주변 배경의 형태도 시각적 집중도를 높여주는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시선은 영화 타이틀로 이동되고, 여기선 뒷 배경의 흰색부분과 검은색의 글씨에서 오는 명도대비가 일어납니다.

또한, 'HOURS'의 글씨 크기와 두께가 '127'보다 작기 때문에 영화의 제목에서 가장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이 숫자인 127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제일 상단의 영화제 수상내역의 시선이동으로, 노란색과 검정색의 강한 대비를 볼 수 있습니다. 

시선의 이동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진행되지는 않지만, 포스터를 통해 이 영화의 주요 내용과 분위기가 어떠한지

떠올려 볼 수 있도록 의도된 포스터디자인으로 느껴졌습니다. 


추가적으로 게슈탈트 그루핑의 폐쇄성 법칙으로, 인물이 위치한 협곡의 좁은틈과, 그 틈을 만들어내는 지형적 형태가 

모래시계의 형태로 보여지도록 하여 '시간'이라는 영화의 주요 테마를 이미지상에서 연출하고 있습니다. 

이를통해 영화의 전체 맥락을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포스터 한 컷에 명료하게 배치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2] 비대칭 영화 포스터 분석하기

느낀 점 :

마지 아르키메데스의 와선을 보는듯 뒤틀린 배경과, 그 배경위에 놓여진 등장인물을 배치. 

여기선 근접성의 원칙 또한 발견할 수 있는데, 배경 무대 위에 자리한 인물들의 위치와 틀어진 각도를 통해 

각 인물들이 서로 어느정도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영화에서의 중요도가 어떠한지를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 포스터의 디자인은 영화 스토리상의 창의적인 장치와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앞서 이야기한 인물들간의 연관성과 중요도를 보여주기 위한 배치는 인간에게 익숙한 시계방향으로 이어지고 있음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야기를 알고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포스터의 비대칭적이고 다소 난해한 모습을 통해 

대략적으로나마 어떠한 분위기일지 상상하게 만들고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3] 대칭 구도를 이용한 명도 대비 포스터 만들기

느낀 점 :

key : 타이머.

한 번에 여러가지를 안할 수가 없는 요즘이라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둔 뽀모도로 시계를 텍스트가 들어갈 자리를 

어느정도 확보한 뒤 최대한 가운데에 배치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면 텍스트와 시계를 한 덩어리로 봤을 때 정 가운데에 위치한 느낌이지

않을까 싶었는데 ,,,


메인은 볼드한 이탤릭체 스타일로 기울어진 모습이 좀 더 속도감을 줄 수 있다 생각했고, '시간'이라는 테마와도 어울릴 것 같았습니다.

반대로 부제는 세리프체로  적어 서로 서체스타일간의 대비를 강하게 주어 정적인 이미지로 연출해보았습니다. 


이 사진을 찍을 때도 느꼈던거지만 저렇게 피사체 외에 그림자와 같은 요소가 보여지는 경우 대상을 가운데에 두었음에도 

가운데에 있지 않아보이는 착시(?) 같은게 나올 때가 있는데, 그런 점까지 고려하는 적절한 방법이 무엇이 있을지 궁금해졌습니다.

눈대중으로 맞춰야 하는 것인지 말이죠



[4] 비대칭 구도를 이용한 명도 대비 포스터 만들기

느낀 점 :

key : 도시 야경

흑백사진에서 대상이 되는 물체의 면이 아니라 도시의 야경을 만드는 각기 다른 광도의 조명들에서 느껴지는 명도대비를 보고자 했습니다.

서로 다른 크기와 방향이 만드는 대비를 보여주는 것이 도심의 모습이라 생각했습니다.

홍대 번화가가 가까이에선 매일매일 분주하게 돌아가는 분위기를 보여주지만 멀리서 보니 한없이 고요하고 정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텍스트는 그러한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을까? 생각했던 것을 사용했고, 느낀바를 세 가지 단어의 라임을 맞춰 적었으므로

조금 단조로워 보이더라도 동일한 서체를 사용했습니다.


가로형으로 쓰는것이 심심하다면 세로로 문장을 적었을 때 또 다른 느낌으로 연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른 수강생이 볼 수 있도록 커뮤니티에 공유되니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는 사진으로 찍어주세요;) 
과제로 제출하신 사진은 다음 기수의 강의 자료나 마케팅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