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감의 특성을 이용한 디자인 분석하기

\
느낀점 :
전체적으로 낡은 종이질감이 오버레이 되어있지만, 평면적인 느낌이 강한 배경과 대비되는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과 외부 장식 요소들에서질감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포스터디자인 이었습니다. 명도가 낮은 건물 주제의 주의력이높다는 것과 그에 반해 상대적으로 높은 채도의 타이포, 이에 더해 얽힘 구조(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습니다.)를 이용한 입체감을 극대화시킨 요소로 경쾌한 느낌을 더해주는것이 질감적인 차이 외에도 눈여겨 볼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개인적인 아쉬운점으로는 컬러감과 명도 채도의 차이가 있지만 그럼에도 생각보다 대비가 강하지 않다는 느낌을줍니다. 만약 빈티지한 연출을 의도했다면 괜찮을 것 같지만 강한 대비감을 의도했다면 다소 아쉽다고 느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추가로, 왜인진 모르겠지만 타이틀에 대한 가독성이 다소 떨어지는 감도 있습니다.

\
느낀점 :
인물과 물건들이 놓여져 있는 잔디마당과 단색의 블랙 배경의 대비에서 질감의 차이를 볼 수 있는 포스터로 가져왔습니다. 쨍한 느낌으로 강조된 잔디의
녹색과 대비되는 심플한 어두운 배경으로인해 자연스러움보단 이질감마저 느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하늘을 가져다 놓았어도 복잡하고 유기적인 형태를 띈
사람들과 자연물에서 대비를 느꼈을테지만 명도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듯 보이는 검은 배경으로 인해 이야
와 연장선에 놓여있는듯 배치하여 하늘과 또 정반대로
대비되는 느낌과 더불어 마치 할리우드 간판처럼 입체감을 느낄 수있도록 하였습니다. 시선처리는 복잡한 구조로 주의력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마당의 요소들과, 그 요소들과 가장 가까이 배치된 타이틀, 그리고 흰색으로 이어지는 박스내의 내용들, 마지막으로 검게 깔린 뒷 배경으로 이동됩니다.
---
[2] 형태를 이용한 디자인 분석하기

\
느낀점 :
원래는 질감차이의 예시로 쓰려고 했던 포스터지만 형태적인차이의 측면에서도 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포스터의 전체 틀은 직사각형의 형태인 반면에 사선으로 배치된 내부 요소들, 위쪽의 러시아워의 보습을 보여주는 복잡한 이미지와
하단의 뻥 뚫린 시원시원한 이미지간의 형태적 차이에 집중해보았습니다. 시각적 위계로 채도와 명도가 높은 옐로우 컬러에 가장 먼저 시선이 집중되고, 이어서 이 바탕에 놓인 주의력 높은 자동차로 이어집니다. 다음은 자연스럽게 블랙컬러의 타이틀을 보게될 것 같았으나 훨씬 복잡한 느낌의
상단부로 자꾸만 시선이 이동됩니다.
이 부분에서 위계순서에 관해 의문점이 한가지 들었습니다. 디자인도 어느정도 개개인의 주관이 반영되듯
제가 생각하는 시각적 시선 이동의 순서와 다른사람의 생각과는 다소 차이가 생기는 경우도 있을텐데, 이것까지 고려해서 최적의 배치를
고려하는 것인지, 아니면 크게 밸런스를 깨뜨리지 않는 기본을 충실이 지키면서 나머지는 각자의 관점에 따라 자유롭게 해석하도록
놔둬야 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
느낀점 :
배경 이미지를 기하학적인 도형에 마스킹하여 생동감과 입체감을 더한 사례로 가져온 포스터입니다.
영화 타이틀의 3번째 시리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세로타입의 포스터가 상하로 더 역동적인 느낌이 들도록 통일감 있는 요소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였습니다. 상대적으로 밝은 느낌의 배경과 상반되는 어두운 인물을 가운데에 배치함으로써 주의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각 도형의 센터에
맞춘 개봉일자로 지속적으로 세로배열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시선은 인물을 시작으로 명도가 높은 주변 배경, 그리고 대비감이 강한 빨간 글씨와 ||| 부분으로 이동되며
마지막으로 하단의 내용들 중 가장 눈에 띄는 노란색 로고로 눈길이 갑니다.
전반적으로 세로선을 주제로 하여 통일감있게 디자인된 포스터입니다.
[3] 질감을 이용한 디자인 만들기
1
원본 :

수정 :

\
느낀점 :
신발상자의 골판지 느낌과 실버 박 프린팅의 대비를 주제로해서 만들었습니다. 골판자의 세로 라인들이 고급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묘하게 역동적인 느낌을 주는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면서 밋밋한 박스에 비해 덜 심심한 분위기를 연출해줍니다.
기본 블랙 바탕에 하얀색으로 로고를 넣어도 로고라는 주제에 대한 주의력이 높았겠지만, 은박 후가공을 통해 쨍한느낌을 극대화 시키면서
약간의 고급감을 더해주어 무광의 박스와 상반되는 반사된 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각적 위계의 중요도는 로고를 시작으로 하여
'검은색 신발 상자'라는 타이틀로 크고 볼드한 느낌의 텍스트를 사용하였고, 서브타이틀은 로고의 아래에 작게 배치하여
중요도를 조절했습니다.
---
2
원본 :

수정 :
\
느낀점 :
매끈한 기둥에 남은 전단지 스티커자국들이 만들어낸 거친 느낌을 소재로 하여 가져온 질감을 이용한 포스터입니다.
시각적으로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뒷 배경은 블러처리했고 오로지 가로등 기둥의 본래 질감에서 느껴지는 감각에 변화를 주는 스티커 조각들에 집중되도록
의도했습니다. 텍스트는 기둥의 왼쪽 라인이 위치한 가운데선에 맞춰 중앙에 유지시킴으로서 균형감을 유지하려 의도하였고, 얇고 작은 글씨의 가독성이 떨어지는걸 방지하고자 블랙컬러의 텍스트를 아래에 배치하여 입체감을 키웠습니다.
[4] 형태를 이용한 디자인 만들기
원본 :

수정:

느낀점 :
배경에 놓인 사격형의 반듯한 건물과 바닥타일, 계단의 형태와 반대되는 구형의 조형물을 주제로 만들었습니다.
서로 크기가 다른 구의 뒤죽박죽 모여있는 느낌을 살려 타이틀 역시 각 알파벳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었습니다.
내용은 타이틀과 같은 볼드한 이탤릭 산세리프치에지만 크기를 조절하여 위계를 후순위에 두었고,
원기둥 형태의 조형물 받침에 반듯하게 배치하여 이미지와 텍스트간의 형태 차이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경우, 무질서한 느낌이 드는 기둥에 배치하기보다는 이미지의 바닥 또는 다른 위치에 두는 것이
더 나은지 고민이 되었습니다.
형태의 차이외에 질감의 차이 역시 느낄 수 있는데, 구와 구들의 사이에 비춰지는 그림자와 더불어 매끈한 질감이
전체적인 분위기에 역동감과 입체감을 키워주고 있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수강생이 볼 수 있도록 커뮤니티에 공유되니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는 사진으로 찍어주세요;)
과제로 제출하신 사진은 다음 기수의 강의 자료나 마케팅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질감의 특성을 이용한 디자인 분석하기
\
느낀점 :
전체적으로 낡은 종이질감이 오버레이 되어있지만, 평면적인 느낌이 강한 배경과 대비되는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과 외부 장식 요소들에서질감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 포스터디자인 이었습니다. 명도가 낮은 건물 주제의 주의력이높다는 것과 그에 반해 상대적으로 높은 채도의 타이포, 이에 더해 얽힘 구조(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습니다.)를 이용한 입체감을 극대화시킨 요소로 경쾌한 느낌을 더해주는것이 질감적인 차이 외에도 눈여겨 볼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개인적인 아쉬운점으로는 컬러감과 명도 채도의 차이가 있지만 그럼에도 생각보다 대비가 강하지 않다는 느낌을줍니다. 만약 빈티지한 연출을 의도했다면 괜찮을 것 같지만 강한 대비감을 의도했다면 다소 아쉽다고 느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추가로, 왜인진 모르겠지만 타이틀에 대한 가독성이 다소 떨어지는 감도 있습니다.
\
느낀점 :
인물과 물건들이 놓여져 있는 잔디마당과 단색의 블랙 배경의 대비에서 질감의 차이를 볼 수 있는 포스터로 가져왔습니다. 쨍한 느낌으로 강조된 잔디의
녹색과 대비되는 심플한 어두운 배경으로인해 자연스러움보단 이질감마저 느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하늘을 가져다 놓았어도 복잡하고 유기적인 형태를 띈
사람들과 자연물에서 대비를 느꼈을테지만 명도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듯 보이는 검은 배경으로 인해 이야
와 연장선에 놓여있는듯 배치하여 하늘과 또 정반대로
대비되는 느낌과 더불어 마치 할리우드 간판처럼 입체감을 느낄 수있도록 하였습니다. 시선처리는 복잡한 구조로 주의력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마당의 요소들과, 그 요소들과 가장 가까이 배치된 타이틀, 그리고 흰색으로 이어지는 박스내의 내용들, 마지막으로 검게 깔린 뒷 배경으로 이동됩니다.
---
[2] 형태를 이용한 디자인 분석하기
\
느낀점 :
원래는 질감차이의 예시로 쓰려고 했던 포스터지만 형태적인차이의 측면에서도 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포스터의 전체 틀은 직사각형의 형태인 반면에 사선으로 배치된 내부 요소들, 위쪽의 러시아워의 보습을 보여주는 복잡한 이미지와
하단의 뻥 뚫린 시원시원한 이미지간의 형태적 차이에 집중해보았습니다. 시각적 위계로 채도와 명도가 높은 옐로우 컬러에 가장 먼저 시선이 집중되고, 이어서 이 바탕에 놓인 주의력 높은 자동차로 이어집니다. 다음은 자연스럽게 블랙컬러의 타이틀을 보게될 것 같았으나 훨씬 복잡한 느낌의
상단부로 자꾸만 시선이 이동됩니다.
이 부분에서 위계순서에 관해 의문점이 한가지 들었습니다. 디자인도 어느정도 개개인의 주관이 반영되듯
제가 생각하는 시각적 시선 이동의 순서와 다른사람의 생각과는 다소 차이가 생기는 경우도 있을텐데, 이것까지 고려해서 최적의 배치를
고려하는 것인지, 아니면 크게 밸런스를 깨뜨리지 않는 기본을 충실이 지키면서 나머지는 각자의 관점에 따라 자유롭게 해석하도록
놔둬야 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
느낀점 :
배경 이미지를 기하학적인 도형에 마스킹하여 생동감과 입체감을 더한 사례로 가져온 포스터입니다.
영화 타이틀의 3번째 시리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세로타입의 포스터가 상하로 더 역동적인 느낌이 들도록 통일감 있는 요소로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하였습니다. 상대적으로 밝은 느낌의 배경과 상반되는 어두운 인물을 가운데에 배치함으로써 주의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각 도형의 센터에
맞춘 개봉일자로 지속적으로 세로배열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시선은 인물을 시작으로 명도가 높은 주변 배경, 그리고 대비감이 강한 빨간 글씨와 ||| 부분으로 이동되며
마지막으로 하단의 내용들 중 가장 눈에 띄는 노란색 로고로 눈길이 갑니다.
전반적으로 세로선을 주제로 하여 통일감있게 디자인된 포스터입니다.
[3] 질감을 이용한 디자인 만들기
1
원본 :
수정 :
\
느낀점 :
신발상자의 골판지 느낌과 실버 박 프린팅의 대비를 주제로해서 만들었습니다. 골판자의 세로 라인들이 고급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묘하게 역동적인 느낌을 주는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면서 밋밋한 박스에 비해 덜 심심한 분위기를 연출해줍니다.
기본 블랙 바탕에 하얀색으로 로고를 넣어도 로고라는 주제에 대한 주의력이 높았겠지만, 은박 후가공을 통해 쨍한느낌을 극대화 시키면서
약간의 고급감을 더해주어 무광의 박스와 상반되는 반사된 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각적 위계의 중요도는 로고를 시작으로 하여
'검은색 신발 상자'라는 타이틀로 크고 볼드한 느낌의 텍스트를 사용하였고, 서브타이틀은 로고의 아래에 작게 배치하여
중요도를 조절했습니다.
---
2
원본 :
수정 :
\
느낀점 :
매끈한 기둥에 남은 전단지 스티커자국들이 만들어낸 거친 느낌을 소재로 하여 가져온 질감을 이용한 포스터입니다.
시각적으로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 뒷 배경은 블러처리했고 오로지 가로등 기둥의 본래 질감에서 느껴지는 감각에 변화를 주는 스티커 조각들에 집중되도록
의도했습니다. 텍스트는 기둥의 왼쪽 라인이 위치한 가운데선에 맞춰 중앙에 유지시킴으로서 균형감을 유지하려 의도하였고, 얇고 작은 글씨의 가독성이 떨어지는걸 방지하고자 블랙컬러의 텍스트를 아래에 배치하여 입체감을 키웠습니다.
[4] 형태를 이용한 디자인 만들기
원본 :
수정:
느낀점 :
배경에 놓인 사격형의 반듯한 건물과 바닥타일, 계단의 형태와 반대되는 구형의 조형물을 주제로 만들었습니다.
서로 크기가 다른 구의 뒤죽박죽 모여있는 느낌을 살려 타이틀 역시 각 알파벳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었습니다.
내용은 타이틀과 같은 볼드한 이탤릭 산세리프치에지만 크기를 조절하여 위계를 후순위에 두었고,
원기둥 형태의 조형물 받침에 반듯하게 배치하여 이미지와 텍스트간의 형태 차이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경우, 무질서한 느낌이 드는 기둥에 배치하기보다는 이미지의 바닥 또는 다른 위치에 두는 것이
더 나은지 고민이 되었습니다.
형태의 차이외에 질감의 차이 역시 느낄 수 있는데, 구와 구들의 사이에 비춰지는 그림자와 더불어 매끈한 질감이
전체적인 분위기에 역동감과 입체감을 키워주고 있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수강생이 볼 수 있도록 커뮤니티에 공유되니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는 사진으로 찍어주세요;)
과제로 제출하신 사진은 다음 기수의 강의 자료나 마케팅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