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소스]초보자를 위한 픽셀아트 스타일 가이드

디자인에는 다양한 스타일이 있습니다.

스타일마다 어울리는 그래픽, 폰트, 색상 요소를 사용해야 원하는 분위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콘보이가 소개하는 오늘의 디자인 스타일 가이드는 '픽셀아트'입니다!

 


픽셀아트란?

‘픽셀 pixel’이란 디지털에서 가장 작은 네모난 블록을 뜻합니다. 이미지를 확대할 때 보이는 사각형이 픽셀입니다. 픽셀에 색상을 칠하여 하나의 작업물을 만드는 것을 픽셀 아트라고 부릅니다. 마치 점을 찍어 만든 것 같아 ‘도트 dot’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픽셀아트는 레트로한 느낌과 간결한 미적 요소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디자인 스타일입니다.

픽셀아트는 1970~1980년대 비디오 게임 산업의 성장과 함께 주요한 비주얼 스타일로 자리 잡았습니다. 초기 그래픽 기술의 한계 때문에 제한된 해상도와 색상 내에서 이미지를 표현해야 했습니다. 픽셀아트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그래픽으로 표현되었지만, 기술 개발과 함께 복잡한 장면과 캐릭터까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습니다.

21세기에 들어서며 픽셀아트는 레트로 스타일의 유행과 디지털 아트의 한 형식으로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픽셀아트를 통해 사람들에게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게임과 연관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비디오 게임, 디지털 아트, 웹 디자인, 메타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픽셀 아트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상업적으로 최초의 비디오게임이라고 평가 받는 [퐁](1972)

80년대 최고의 게임 [팩맨](1980)

픽셀아트 어떻게 쓰이고 있나요?

픽셀아트는 비디오게임에서 출발했지만,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픽셀아트 스타일을 사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게임’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초기 비디오 게임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이미지이기 때문에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 매체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70~80년대 사람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대표적인 픽셀아트 몇 가지 살펴볼까요?

1) 크롬 다이노 온라인 게임
인터넷이 없을 때 크롬 브라우저에 등장하는 공룡 게임입니다. 크롬 다이노 게임은 인터넷이 없던 ‘구’ 시대를 장난스럽게 표현하기 위해 공룡이 선택되었습니다. 선사시대 정신을 유지하기 위한 ‘단순함’은 조작법과 디자인에도 드러납니다. 픽셀아트는 단순한 형태와 고전 게임이라는 특징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스타일입니다.

출처: 크롬 다이노 온라인 게임


2) 기묘한 이야기 게임
다음으로 소개할 디자인은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기묘한 이야기’ 게임입니다. 80년대 청소년기 아이들이 주인공인만큼 비디오 게임에 적합한 픽셀아트를 사용했습니다.

출처: 넷플릭스 / 기묘한 이야기 게임


70~80년대 뿐만 아니라 20~30대에 유행하는 레트로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1) 찰리와 걷기
일정 걸음 수 이상일 경우 점수를 얻고, 캐릭터를 꾸밀 수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걷기 앱입니다. 복잡하고 화려한 그래픽보다 단순하고 귀여운 매력으로 사람들의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출처: 찰리와 걷기 인스타그램


2) 뉴진스 앨범 커버
레트로의 대명사가 된 뉴진스의 ‘Get up’ 앨범 커버에도 픽셀아트가 사용되었습니다. Get up 앨범의 1번 트랙 ‘New Jeans’ 뮤직비디오에서는 레트로, Y2K의 모든 스타일을 담고 있는데 이 중 ‘Game’이라는 가사가 들어간 부분에서 픽셀아트가 사용됩니다. 픽셀아트와 비디오 게임은 뗄 수 없는 존재인 것 같습니다.

출처: 어도어


3) 티파니앤코 NFT 주얼리 및 카톡 이모티콘
명품 주얼리 브랜드로 알려진 티파니앤코는 Z세대에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크립토펑크의 NFT 작품을 처음으로 상품화하여 출시하거나, Y2K 스타일의 이모티콘을 만들어 20~30대의 장벽을 낮추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출처: 티파니


픽셀아트의 모티프

픽셀아트는 그리드에 맞춰 생성되는 특유의 형태를 띱니다. 픽셀의 크기, 색깔에 따라 단순하게, 혹은 복잡하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초기 8비트 시스템은 종종 16색의 제한된 색상을 사용했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대에는 70, 80년대 픽셀아트를 재현하기 위해 한정된 색상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1) 그래픽 에셋
픽셀아트는 ‘그리드’에 맞춰 생성되는 독특한 형태를 가집니다. 픽셀의 크기에 따라 복잡하게 표현할 수 있지만, 자연스러운 블렌딩, 곡선 등 픽셀이 주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모양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출처: Sooyoung Kim / Behance


2) 폰트

픽셀아트와 어울리는 폰트에는 픽셀화된 폰트, 각 문자가 동일한 가로폭을 가지는 모노 스페이스 폰트가 있습니다.
* 해당 폰트 이미지를 클릭하면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가 열립니다.

픽셀화 폰트 (본문)

VT323

Pixelify Sans

Yoon px 픽맨

HBIOS-SYS


픽셀화 폰트 (제목)

PF Pixelscript

Fight!

던파 비트비트체 V2

Rix 전자오락_Pro 3D


모노그래픽 폰트

OCR A

AdaptiveMono

Orbit


3) 색상 코드

픽셀아트에 사용되는 색상은 크게 고채도와 저채도가 있습니다. 비디오 게임으로 시작한 픽셀아트는 대부분 검은색 바탕에 단조로운 고채도를 사용했습니다. 보색 또는 유사색의 두 색상과 함께 채도가 높은 색상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강렬한 대비를 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출처: Pinters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색상이 점점 세분되면서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디테일이 많을 경우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한 가지 톤이나 두 가지 톤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픽 디자인에서는 저채도의 모노톤(한가지 색상에서 명도를 바꾸어 사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처: Pinterst / Behance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게임적 요소를 강조하고 싶거나, 레트로 감성의 그래픽을 만들고 싶다면 픽셀아트를 활용하여 디자인해보세요!


*픽셀아트를 이용한 감각적인 포스터를 만들고 싶다면? 콘보이 일러스트레이터에서 배우실 수 있습니다 :)

콘보이 일러스트레이터 수강하기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